세계시민교육
[지역사회참여] 프로젝트 설계안 1
Alza
2025. 4. 22. 12:12
반응형
🧭 프로젝트 수업 설계안
📌 단원 주제:
“민주주의와 나: 우리 동네를 더 살기 좋게 만들기”
1. 🧠 개념 중심 탐구 질문
- 민주주의란 무엇이며, 내 일상 속에서 어떻게 실천할 수 있을까?
- 내가 느끼는 지역사회의 문제를 민주적인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을까?
- 이미지(시각 예술)는 어떻게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을까?
2. 🎯 성취기준 (2022 개정 교육과정)
사회
- [6사03-02] 우리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정치 제도를 이해하고 민주주의의 의미와 중요성을 설명한다.
도덕
- [6도03-01] 자신의 삶을 돌아보며 자율적인 삶의 태도를 지닌다.
미술
- [6미04-02] 생각이나 느낌을 이미지로 표현하는 다양한 방법을 탐색하고 활용한다.
3. 🌍 핵심 개념 (Big Ideas)
- 민주주의: 공동체의 다양한 목소리를 듣고 참여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원리
- 책임감: 나와 지역사회에 대한 책임 있는 태도
- 표현: 생각과 문제의식을 예술로 표현하는 방법
- 참여와 실천: 시민으로서 나의 역할과 행동
4. 🧭 탐구 흐름 (개념기반 탐구 모델 기반 6단계)
1단계: 관계 맺기 (Engage)
- 내가 사는 동네에서 불편하거나 개선했으면 하는 문제 떠올리기
- 지역 사회의 문제와 나의 감정 연결하기 (도덕)
- 나의 ‘하루 일상’과 ‘민주주의적 요소’ 찾기 브레인스토밍 (사회)
2단계: 집중하기 (Focus)
- 민주주의의 핵심 가치 알아보기: 참여, 자유, 책임, 협력
- ‘민주주의가 살아있는’ 지역 사례 조사
- ‘문제 표현 이미지’ 분석하기: 거리의 포스터, 예술작품 속 사회 메시지 찾기 (미술)
3단계: 조사하기 (Investigate)
- 지역의 문제에 대한 실제 원인 조사 (예: 설문, 인터뷰, 관찰)
- 지역사회 관계자(구청, 주민센터 등) 인터뷰 계획 및 실행
- 다른 지역의 사례나 정책 분석하기
4단계: 조직 및 정리하기 (Organize)
- 문제-원인-해결책 매핑하기 (사유망, 도해)
- 해결 방안 기획서 작성 및 역할 분담
- 시각 이미지(포스터/디지털 아트 등)로 문제 제기 방식 구상
5단계: 일반화하기 (Generalize)
- 우리가 조사하고 계획한 내용을 바탕으로 민주적 해결 원리 도출
- “민주주의는 ___이다” 문장으로 일반화 표현
6단계: 실천하기 및 성찰하기 (Act & Reflect)
- 실천 활동: 캠페인, 영상 제작, 포스터 게시, 정책 제안 등
- 성찰 저널 쓰기: 나의 생각, 감정, 배움 정리
- 결과 공유회: 학급 또는 학교 전체 대상 발표
5. 🧪 수행평가 및 과정중심평가
- 지역사회 문제 분석 보고서
- 역할분담 실천 계획서
- 나의 민주주의 실천 성찰 일지
- 이미지 제작물(포스터/디지털 영상 등)
- 팀별 결과 발표 및 피드백
6. 💡 수업의 특색
- **학생 주도 프로젝트 기반 학습(PBL)**으로 설계
- 지역사회와의 실질적 연결과 사회참여교육 중심 구성
- 미술을 통해 사회 문제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융합형 세계시민교육 실현
반응형